Spaces:
Running
Running
import gradio as gr | |
import os | |
import json | |
import requests | |
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| |
import time | |
from typing import List, Dict, Any, Generator, Tuple | |
import logging | |
import re | |
# 로깅 설정 | |
logging.basicConfig(level=logging.INFO) | |
logger = logging.getLogger(__name__) | |
# 환경 변수에서 토큰 가져오기 | |
FRIENDLI_TOKEN = os.getenv("FRIENDLI_TOKEN", "YOUR_FRIENDLI_TOKEN") | |
BAPI_TOKEN = os.getenv("BAPI_TOKEN", "YOUR_BRAVE_API_TOKEN") | |
API_URL = "https://api.friendli.ai/dedicated/v1/chat/completions" | |
BRAVE_SEARCH_URL = "https://api.search.brave.com/res/v1/web/search" | |
MODEL_ID = "dep89a2fld32mcm" | |
TEST_MODE = os.getenv("TEST_MODE", "false").lower() == "true" | |
# 전역 변수 | |
conversation_history = [] | |
class LLMCollaborativeSystem: | |
def __init__(self): | |
self.token = FRIENDLI_TOKEN | |
self.bapi_token = BAPI_TOKEN | |
self.api_url = API_URL | |
self.brave_url = BRAVE_SEARCH_URL | |
self.model_id = MODEL_ID | |
self.test_mode = TEST_MODE or (self.token == "YOUR_FRIENDLI_TOKEN") | |
if self.test_mode: | |
logger.warning("테스트 모드로 실행됩니다.") | |
if self.bapi_token == "YOUR_BRAVE_API_TOKEN": | |
logger.warning("Brave API 토큰이 설정되지 않았습니다.") | |
def create_headers(self): | |
"""API 헤더 생성""" | |
return { | |
"Authorization": f"Bearer {self.token}", | |
"Content-Type": "application/json" | |
} | |
def create_brave_headers(self): | |
"""Brave API 헤더 생성""" | |
return { | |
"Accept": "application/json", | |
"Accept-Encoding": "gzip", | |
"X-Subscription-Token": self.bapi_token | |
} | |
def create_supervisor_initial_prompt(self, user_query: str) -> str: | |
"""감독자 AI 초기 프롬프트 생성""" | |
return f"""당신은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지도하는 감독자 AI입니다. | |
사용자 질문: {user_query} | |
이 질문에 대해: | |
1. 전체적인 접근 방향과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세요 | |
2. 핵심 요소와 고려사항을 구조화하여 설명하세요 | |
3. 이 주제에 대해 조사가 필요한 5-7개의 구체적인 키워드나 검색어를 제시하세요 | |
키워드는 다음 형식으로 제시하세요: | |
[검색 키워드]: 키워드1, 키워드2, 키워드3, 키워드4, 키워드5""" | |
def create_researcher_prompt(self, user_query: str, supervisor_guidance: str, search_results: Dict[str, List[Dict]]) -> str: | |
"""조사자 AI 프롬프트 생성""" | |
search_summary = "" | |
for keyword, results in search_results.items(): | |
search_summary += f"\n\n**{keyword}에 대한 검색 결과:**\n" | |
for i, result in enumerate(results[:3], 1): | |
search_summary += f"{i}. {result.get('title', 'N/A')}\n" | |
search_summary += f" - {result.get('description', 'N/A')}\n" | |
search_summary += f" - 출처: {result.get('url', 'N/A')}\n" | |
return f"""당신은 정보를 조사하고 정리하는 조사자 AI입니다. | |
사용자 질문: {user_query} | |
감독자 AI의 지침: | |
{supervisor_guidance} | |
브레이브 검색 결과: | |
{search_summary} | |
위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: | |
1. 각 키워드별로 중요한 정보를 정리하세요 | |
2.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명시하세요 | |
3. 실행자 AI가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데이터와 사실을 추출하세요 | |
4. 최신 트렌드나 중요한 통계가 있다면 강조하세요""" | |
def create_supervisor_execution_prompt(self, user_query: str, research_summary: str) -> str: | |
"""감독자 AI의 실행 지시 프롬프트""" | |
return f"""당신은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지도하는 감독자 AI입니다. | |
사용자 질문: {user_query} | |
조사자 AI가 정리한 조사 내용: | |
{research_summary} | |
위 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실행자 AI에게 아주 구체적인 지시를 내려주세요: | |
1. 조사된 정보를 어떻게 활용할지 명확히 지시하세요 | |
2. 실행 가능한 단계별 작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세요 | |
3. 각 단계에서 참고해야 할 조사 내용을 명시하세요 | |
4. 예상되는 결과물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""" | |
def create_executor_prompt(self, user_query: str, supervisor_guidance: str, research_summary: str) -> str: | |
"""실행자 AI 프롬프트 생성""" | |
return f"""당신은 세부적인 내용을 구현하는 실행자 AI입니다. | |
사용자 질문: {user_query} | |
조사자 AI가 정리한 조사 내용: | |
{research_summary} | |
감독자 AI의 구체적인 지시: | |
{supervisor_guidance} | |
위 조사 내용과 지시사항을 바탕으로: | |
1. 조사된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작성하세요 | |
2. 각 단계별로 참고한 조사 내용을 명시하세요 | |
3.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세요 | |
4. 예상되는 성과와 측정 방법을 포함하세요""" | |
def extract_keywords(self, supervisor_response: str) -> List[str]: | |
"""감독자 응답에서 키워드 추출""" | |
keywords = [] | |
# [검색 키워드]: 형식으로 키워드 찾기 | |
keyword_match = re.search(r'\[검색 키워드\]:\s*(.+)', supervisor_response, re.IGNORECASE) | |
if keyword_match: | |
keyword_str = keyword_match.group(1) | |
keywords = [k.strip() for k in keyword_str.split(',') if k.strip()] | |
# 키워드가 없으면 기본 키워드 생성 | |
if not keywords: | |
keywords = ["best practices", "implementation guide", "case studies", "latest trends", "success factors"] | |
return keywords[:7] # 최대 7개로 제한 | |
def brave_search(self, query: str) -> List[Dict]: | |
"""Brave Search API 호출""" | |
if self.test_mode or self.bapi_token == "YOUR_BRAVE_API_TOKEN": | |
# 테스트 모드에서는 시뮬레이션된 결과 반환 | |
return [ | |
{ | |
"title": f"Best Practices for {query}", | |
"description": f"Comprehensive guide on implementing {query} with proven methodologies and real-world examples.", | |
"url": f"https://example.com/{query.replace(' ', '-')}" | |
}, | |
{ | |
"title": f"Latest Trends in {query}", | |
"description": f"Analysis of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{query}, including market insights and expert opinions.", | |
"url": f"https://trends.example.com/{query.replace(' ', '-')}" | |
}, | |
{ | |
"title": f"{query}: Case Studies and Success Stories", | |
"description": f"Real-world implementations of {query} across various industries with measurable results.", | |
"url": f"https://casestudies.example.com/{query.replace(' ', '-')}" | |
} | |
] | |
try: | |
params = { | |
"q": query, | |
"count": 5, | |
"safesearch": "moderate", | |
"freshness": "pw" # Past week for recent results | |
} | |
response = requests.get( | |
self.brave_url, | |
headers=self.create_brave_headers(), | |
params=params, | |
timeout=10 | |
) | |
if response.status_code == 200: | |
data = response.json() | |
results = [] | |
for item in data.get("web", {}).get("results", [])[:5]: | |
results.append({ | |
"title": item.get("title", ""), | |
"description": item.get("description", ""), | |
"url": item.get("url", "") | |
}) | |
return results | |
else: | |
logger.error(f"Brave API 오류: {response.status_code}") | |
return [] | |
except Exception as e: | |
logger.error(f"Brave 검색 중 오류: {str(e)}") | |
return [] | |
def simulate_streaming(self, text: str, role: str) -> Generator[str, None, None]: | |
"""테스트 모드에서 스트리밍 시뮬레이션""" | |
words = text.split() | |
for i in range(0, len(words), 3): | |
chunk = " ".join(words[i:i+3]) | |
yield chunk + " " | |
time.sleep(0.05) | |
def call_llm_streaming(self, messages: List[Dict[str, str]], role: str) -> Generator[str, None, None]: | |
"""스트리밍 LLM API 호출""" | |
# 테스트 모드 | |
if self.test_mode: | |
logger.info(f"테스트 모드 스트리밍 - Role: {role}") | |
test_responses = { | |
"supervisor_initial": """이 질문에 대한 거시적 분석을 제시하겠습니다. | |
1. **핵심 개념 파악** | |
- 질문의 본질적 요소를 심층 분석합니다 | |
- 관련된 주요 이론과 원칙을 검토합니다 | |
-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 방법을 고려합니다 | |
2. **전략적 접근 방향** | |
- 체계적이고 단계별 해결 방안을 수립합니다 | |
- 장단기 목표를 명확히 설정합니다 | |
- 리스크 요인과 대응 방안을 마련합니다 | |
3. **기대 효과와 과제** | |
- 예상되는 긍정적 성과를 분석합니다 | |
- 잠재적 도전 과제를 식별합니다 | |
-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| |
[검색 키워드]: machine learning optimization, performance improvement strategies, model efficiency techniques, hyperparameter tuning best practices, latest ML trends 2024""", | |
"researcher": """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. | |
**1. Machine Learning Optimization** | |
- 최신 연구에 따르면 모델 최적화의 핵심은 아키텍처 설계와 훈련 전략의 균형입니다 | |
- AutoML 도구들이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| |
- 출처: ML Conference 2024, Google Research | |
**2. Performance Improvement Strategies** | |
- 데이터 품질 개선이 모델 성능 향상의 80%를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 | |
- 앙상블 기법과 전이학습이 주요 성능 개선 방법으로 입증됨 | |
- 벤치마크: ImageNet에서 95% 이상의 정확도 달성 사례 | |
**3. Model Efficiency Techniques** | |
- 모델 경량화(Pruning, Quantization)로 추론 속도 10배 향상 가능 | |
- Knowledge Distillation으로 모델 크기 90% 감소, 성능 유지 | |
- 최신 트렌드: Efficient Transformers, Neural Architecture Search | |
**4. 실제 적용 사례** | |
- Netflix: 추천 시스템 개선으로 사용자 만족도 35% 향상 | |
- Tesla: 실시간 객체 인식 속도 50% 개선 | |
- OpenAI: GPT 모델 효율성 개선으로 비용 70% 절감""", | |
"supervisor_execution": """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실행자 AI에게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지시합니다. | |
**1단계: 현재 모델 진단 (1주차)** | |
- 조사된 벤치마크 기준으로 현재 모델 성능 평가 | |
- Netflix 사례를 참고하여 주요 병목 지점 식별 | |
- AutoML 도구를 활용한 초기 최적화 가능성 탐색 | |
**2단계: 데이터 품질 개선 (2-3주차)** | |
- 조사 결과의 "80% 규칙"에 따라 데이터 정제 우선 실행 | |
- 데이터 증강 기법 적용 (조사된 최신 기법 활용) | |
- A/B 테스트로 개선 효과 측정 | |
**3단계: 모델 최적화 구현 (4-6주차)** | |
- Knowledge Distillation 적용하여 모델 경량화 | |
- 조사된 Pruning 기법으로 추론 속도 개선 | |
- Tesla 사례의 실시간 처리 최적화 기법 벤치마킹 | |
**4단계: 성과 검증 및 배포 (7-8주차)** | |
- OpenAI 사례의 비용 절감 지표 적용 | |
- 조사된 성능 지표로 개선율 측정 | |
- 단계적 배포 전략 수립""", | |
"executor": """감독자의 지시와 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합니다. | |
**1단계: 현재 모델 진단 (1주차)** | |
- 월요일-화요일: MLflow를 사용한 현재 모델 메트릭 수집 | |
* 조사 결과 참고: Netflix가 사용한 핵심 지표 (정확도, 지연시간, 처리량) | |
- 수요일-목요일: AutoML 도구 (Optuna, Ray Tune) 설정 및 초기 실행 | |
* 조사된 best practice에 따라 search space 정의 | |
- 금요일: 진단 보고서 작성 및 개선 우선순위 결정 | |
**2단계: 데이터 품질 개선 (2-3주차)** | |
- 데이터 정제 파이프라인 구축 | |
* 조사 결과의 "80% 규칙" 적용: 누락값, 이상치, 레이블 오류 처리 | |
* 코드 예시: `data_quality_pipeline.py` 구현 | |
- 데이터 증강 구현 | |
* 최신 기법 적용: MixUp, CutMix, AutoAugment | |
* 검증 데이터셋으로 효과 측정 (목표: 15% 성능 향상) | |
**3단계: 모델 최적화 구현 (4-6주차)** | |
- Knowledge Distillation 구현 | |
* Teacher 모델: 현재 대규모 모델 | |
* Student 모델: 90% 작은 크기 목표 (조사 결과 기반) | |
* 구현 프레임워크: PyTorch/TensorFlow | |
- Pruning 및 Quantization 적용 | |
* 구조적 pruning으로 50% 파라미터 제거 | |
* INT8 quantization으로 추가 4배 속도 향상 | |
* Tesla 사례 참고: TensorRT 최적화 적용 | |
**4단계: 성과 검증 및 배포 (7-8주차)** | |
- 성과 지표 측정 | |
* 추론 속도: 목표 10배 향상 (조사 결과 기반) | |
* 정확도 손실: 최대 2% 이내 유지 | |
* 비용 절감: 70% 목표 (OpenAI 사례 참고) | |
- 배포 전략 | |
* A/B 테스트: 10% 트래픽으로 시작 | |
* 모니터링: Prometheus + Grafana 대시보드 | |
* 롤백 계획: 성능 저하 시 자동 롤백 | |
**예상 결과물** | |
- 최적화된 모델 (크기 90% 감소, 속도 10배 향상) | |
- 상세 성능 벤치마크 보고서 | |
- 프로덕션 배포 가이드 및 모니터링 대시보드 | |
- 재현 가능한 최적화 파이프라인 코드""", | |
"supervisor_review": """실행자 AI의 계획을 검토한 결과, 조사 내용이 잘 반영되었습니다. 추가 개선사항을 제안합니다. | |
**강점** | |
- 조사된 사례들(Netflix, Tesla, OpenAI)이 각 단계에 적절히 활용됨 | |
- 구체적인 도구와 기법이 명시되어 실행 가능성이 높음 | |
- 측정 가능한 목표가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설정됨 | |
**보완 필요사항** | |
1. 리스크 관리: 각 단계별 실패 시나리오와 대응 방안 추가 | |
2. 비용 분석: OpenAI 사례의 70% 절감을 위한 구체적인 비용 계산 | |
3. 팀 협업: 데이터 과학자, ML 엔지니어, DevOps 간 역할 분담 명확화 | |
**추가 권장사항** | |
- 최신 연구 동향 모니터링 체계 구축 | |
- 경쟁사 벤치마킹을 위한 정기적인 조사 프로세스 | |
- 내부 지식 공유를 위한 문서화 및 세미나 계획""" | |
} | |
if role == "supervisor" and "조사자 AI가 정리한" in messages[0]["content"]: | |
response = test_responses["supervisor_execution"] | |
elif role == "supervisor" and messages[0]["content"].find("실행자 AI의 답변") > -1: | |
response = test_responses["supervisor_review"] | |
elif role == "supervisor": | |
response = test_responses["supervisor_initial"] | |
elif role == "researcher": | |
response = test_responses["researcher"] | |
else: | |
response = test_responses["executor"] | |
yield from self.simulate_streaming(response, role) | |
return | |
# 실제 API 호출 | |
try: | |
system_prompts = { | |
"supervisor": "당신은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지도하는 감독자 AI입니다.", | |
"researcher": "당신은 정보를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조사자 AI입니다.", | |
"executor": "당신은 세부적인 내용을 구현하는 실행자 AI입니다." | |
} | |
full_messages = [ | |
{"role": "system", "content": system_prompts.get(role, "")}, | |
*messages | |
] | |
payload = { | |
"model": self.model_id, | |
"messages": full_messages, | |
"max_tokens": 2048, | |
"temperature": 0.7, | |
"top_p": 0.8, | |
"stream": True, | |
"stream_options": {"include_usage": True} | |
} | |
logger.info(f"API 스트리밍 호출 시작 - Role: {role}") | |
response = requests.post( | |
self.api_url, | |
headers=self.create_headers(), | |
json=payload, | |
stream=True, | |
timeout=10 | |
) | |
if response.status_code != 200: | |
logger.error(f"API 오류: {response.status_code}") | |
yield f"❌ API 오류 ({response.status_code}): {response.text[:200]}" | |
return | |
for line in response.iter_lines(): | |
if line: | |
line = line.decode('utf-8') | |
if line.startswith("data: "): | |
data = line[6:] | |
if data == "[DONE]": | |
break | |
try: | |
chunk = json.loads(data) | |
if "choices" in chunk and chunk["choices"]: | |
content = chunk["choices"][0].get("delta", {}).get("content", "") | |
if content: | |
yield content | |
except json.JSONDecodeError: | |
continue | |
except requests.exceptions.Timeout: | |
yield "⏱️ API 호출 시간이 초과되었습니다. 다시 시도해주세요." | |
except requests.exceptions.ConnectionError: | |
yield "🔌 API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. 인터넷 연결을 확인해주세요." | |
except Exception as e: | |
logger.error(f"스트리밍 중 오류: {str(e)}") | |
yield f"❌ 오류 발생: {str(e)}" | |
# 시스템 인스턴스 생성 | |
llm_system = LLMCollaborativeSystem() | |
def process_query_streaming(user_query: str, history: List): | |
"""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쿼리 처리""" | |
if not user_query: | |
return history, "", "", "", "", "❌ 질문을 입력해주세요." | |
conversation_log = [] | |
all_responses = {"supervisor": [], "researcher": [], "executor": []} | |
try: | |
# 1단계: 감독자 AI 초기 분석 및 키워드 추출 | |
supervisor_prompt = llm_system.create_supervisor_initial_prompt(user_query) | |
supervisor_initial_response = "" | |
supervisor_text = "[초기 분석] 🔄 생성 중...\n" | |
for chunk in llm_system.call_llm_streaming( | |
[{"role": "user", "content": supervisor_prompt}], | |
"supervisor" | |
): | |
supervisor_initial_response += chunk | |
supervisor_text = f"[초기 분석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supervisor_initial_response}" | |
yield history, supervisor_text, "", "", "", "🔄 감독자 AI가 분석 중..." | |
all_responses["supervisor"].append(supervisor_initial_response) | |
# 키워드 추출 | |
keywords = llm_system.extract_keywords(supervisor_initial_response) | |
logger.info(f"추출된 키워드: {keywords}") | |
# 2단계: 브레이브 검색 수행 | |
researcher_text = "[웹 검색] 🔍 검색 중...\n" | |
yield history, supervisor_text, researcher_text, "", "", "🔍 웹 검색 수행 중..." | |
search_results = {} | |
for keyword in keywords: | |
results = llm_system.brave_search(keyword) | |
if results: | |
search_results[keyword] = results | |
researcher_text += f"✓ '{keyword}' 검색 완료\n" | |
yield history, supervisor_text, researcher_text, "", "", f"🔍 '{keyword}' 검색 중..." | |
# 3단계: 조사자 AI가 검색 결과 정리 | |
researcher_prompt = llm_system.create_researcher_prompt(user_query, supervisor_initial_response, search_results) | |
researcher_response = "" | |
researcher_text = "[조사 결과 정리] 🔄 생성 중...\n" | |
for chunk in llm_system.call_llm_streaming( | |
[{"role": "user", "content": researcher_prompt}], | |
"researcher" | |
): | |
researcher_response += chunk | |
researcher_text = f"[조사 결과 정리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researcher_response}" | |
yield history, supervisor_text, researcher_text, "", "", "📝 조사자 AI가 정리 중..." | |
all_responses["researcher"].append(researcher_response) | |
# 4단계: 감독자 AI가 조사 내용 기반으로 실행 지시 | |
supervisor_execution_prompt = llm_system.create_supervisor_execution_prompt(user_query, researcher_response) | |
supervisor_execution_response = "" | |
supervisor_text += "\n\n---\n\n[실행 지시] 🔄 생성 중...\n" | |
for chunk in llm_system.call_llm_streaming( | |
[{"role": "user", "content": supervisor_execution_prompt}], | |
"supervisor" | |
): | |
supervisor_execution_response += chunk | |
temp_text = f"{all_responses['supervisor'][0]}\n\n---\n\n[실행 지시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supervisor_execution_response}" | |
supervisor_text = f"[초기 분석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temp_text}" | |
yield history, supervisor_text, researcher_text, "", "", "🎯 감독자 AI가 지시 중..." | |
all_responses["supervisor"].append(supervisor_execution_response) | |
# 5단계: 실행자 AI가 조사 내용과 지시를 기반으로 세부 구현 | |
executor_prompt = llm_system.create_executor_prompt(user_query, supervisor_execution_response, researcher_response) | |
executor_response = "" | |
executor_text = "[세부 구현] 🔄 생성 중...\n" | |
for chunk in llm_system.call_llm_streaming( | |
[{"role": "user", "content": executor_prompt}], | |
"executor" | |
): | |
executor_response += chunk | |
executor_text = f"[세부 구현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executor_response}" | |
yield history, supervisor_text, researcher_text, executor_text, "", "🔧 실행자 AI가 구현 중..." | |
all_responses["executor"].append(executor_response) | |
# 6단계: 감독자 AI 최종 검토 | |
review_prompt = llm_system.create_supervisor_initial_prompt(user_query) | |
review_prompt = f"""당신은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지도하는 감독자 AI입니다. | |
사용자 질문: {user_query} | |
실행자 AI의 답변: | |
{executor_response} | |
이 답변을 검토하고 개선점과 추가 고려사항을 제시해주세요.""" | |
review_response = "" | |
supervisor_text = f"[초기 분석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all_responses['supervisor'][0]}\n\n---\n\n[실행 지시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all_responses['supervisor'][1]}\n\n---\n\n[최종 검토] 🔄 생성 중...\n" | |
for chunk in llm_system.call_llm_streaming( | |
[{"role": "user", "content": review_prompt}], | |
"supervisor" | |
): | |
review_response += chunk | |
temp_text = f"{all_responses['supervisor'][0]}\n\n---\n\n[실행 지시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all_responses['supervisor'][1]}\n\n---\n\n[최종 검토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review_response}" | |
supervisor_text = f"[초기 분석] - {datetime.now().strftime('%H:%M:%S')}\n{temp_text}" | |
yield history, supervisor_text, researcher_text, executor_text, "", "🔄 감독자 AI가 검토 중..." | |
# 최종 결과 생성 | |
final_summary = f"""## 🤝 협력적 AI 시스템 종합 답변 | |
### 📌 사용자 질문 | |
{user_query} | |
### 🔍 거시적 분석 (감독자 AI) | |
{all_responses['supervisor'][0]} | |
### 📚 조사 결과 (조사자 AI) | |
{researcher_response} | |
### 🎯 실행 지시 (감독자 AI) | |
{all_responses['supervisor'][1]} | |
### 💡 세부 구현 (실행자 AI) | |
{executor_response} | |
### ✨ 최종 검토 및 개선사항 (감독자 AI) | |
{review_response} | |
--- | |
*이 답변은 웹 검색을 통한 최신 정보와 AI들의 협력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.*""" | |
# 히스토리 업데이트 | |
new_history = history + [(user_query, final_summary)] | |
yield new_history, supervisor_text, researcher_text, executor_text, final_summary, "✅ 분석 완료!" | |
except Exception as e: | |
error_msg = f"❌ 처리 중 오류: {str(e)}" | |
yield history, "", "", "", error_msg, error_msg | |
def clear_all(): | |
"""모든 내용 초기화""" | |
return [], "", "", "", "", "🔄 초기화되었습니다." | |
# Gradio 인터페이스 | |
css = """ | |
.gradio-container { | |
font-family: 'Arial', sans-serif; | |
} | |
.supervisor-box textarea { | |
border-left: 4px solid #667eea !important; | |
padding-left: 10px !important; | |
} | |
.researcher-box textarea { | |
border-left: 4px solid #10b981 !important; | |
padding-left: 10px !important; | |
} | |
.executor-box textarea { | |
border-left: 4px solid #764ba2 !important; | |
padding-left: 10px !important; | |
} | |
""" | |
with gr.Blocks(title="협력적 LLM 시스템", theme=gr.themes.Soft(), css=css) as app: | |
gr.Markdown( | |
f""" | |
# 🤝 협력적 LLM 시스템 (조사자 포함) | |
> 감독자, 조사자, 실행자 AI가 협력하여 최상의 답변을 만들어냅니다. | |
**상태**: | |
- LLM: {'🟢 실제 모드' if not llm_system.test_mode else '🟡 테스트 모드'} | |
- Brave Search: {'🟢 활성화' if llm_system.bapi_token != "YOUR_BRAVE_API_TOKEN" else '🟡 테스트 모드'} | |
**시스템 구조:** | |
- 🧠 **감독자 AI**: 전체적인 방향 제시 및 키워드 추출 | |
- 🔍 **조사자 AI**: 브레이브 검색으로 최신 정보 조사 및 정리 | |
- 👁️ **실행자 AI**: 조사 내용 기반 구체적 구현 | |
- 🔄 **협력 프로세스**: 검색 정보 기반 상호 피드백 | |
""" | |
) | |
with gr.Row(): | |
# 왼쪽: 입력 및 채팅 기록 | |
with gr.Column(scale=1): | |
chatbot = gr.Chatbot( | |
label="💬 대화 기록", | |
height=600, | |
show_copy_button=True, | |
bubble_full_width=False | |
) | |
user_input = gr.Textbox( | |
label="질문 입력", | |
placeholder="예: 기계학습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?", | |
lines=3 | |
) | |
with gr.Row(): | |
submit_btn = gr.Button("🚀 분석 시작", variant="primary", scale=2) | |
clear_btn = gr.Button("🗑️ 초기화", scale=1) | |
status_text = gr.Textbox( | |
label="상태", | |
interactive=False, | |
value="대기 중...", | |
max_lines=1 | |
) | |
# 오른쪽: AI 출력 | |
with gr.Column(scale=2): | |
# 최종 결과 | |
with gr.Accordion("📊 최종 종합 결과", open=True): | |
final_output = gr.Markdown( | |
value="*질문을 입력하면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*" | |
) | |
# AI 출력들 | |
with gr.Row(): | |
# 감독자 AI 출력 | |
with gr.Column(): | |
gr.Markdown("### 🧠 감독자 AI (거시적 분석)") | |
supervisor_output = gr.Textbox( | |
label="", | |
lines=12, | |
max_lines=15, | |
interactive=False, | |
elem_classes=["supervisor-box"] | |
) | |
with gr.Row(): | |
# 조사자 AI 출력 | |
with gr.Column(): | |
gr.Markdown("### 🔍 조사자 AI (웹 검색 & 정리)") | |
researcher_output = gr.Textbox( | |
label="", | |
lines=12, | |
max_lines=15, | |
interactive=False, | |
elem_classes=["researcher-box"] | |
) | |
# 실행자 AI 출력 | |
with gr.Column(): | |
gr.Markdown("### 👁️ 실행자 AI (미시적 구현)") | |
executor_output = gr.Textbox( | |
label="", | |
lines=12, | |
max_lines=15, | |
interactive=False, | |
elem_classes=["executor-box"] | |
) | |
# 예제 | |
gr.Examples( | |
examples=[ | |
"기계학습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최신 방법은?", | |
"2024년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도구와 전략은?", | |
"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의 최신 트렌드는?", | |
"최신 데이터 시각화 도구와 기법은?", | |
"원격 팀의 생산성을 높이는 검증된 방법은?" | |
], | |
inputs=user_input, | |
label="💡 예제 질문" | |
) | |
# 이벤트 핸들러 | |
submit_btn.click( | |
fn=process_query_streaming, | |
inputs=[user_input, chatbot], | |
outputs=[chatbot, supervisor_output, researcher_output, executor_output, final_output, status_text] | |
).then( | |
fn=lambda: "", | |
outputs=[user_input] | |
) | |
user_input.submit( | |
fn=process_query_streaming, | |
inputs=[user_input, chatbot], | |
outputs=[chatbot, supervisor_output, researcher_output, executor_output, final_output, status_text] | |
).then( | |
fn=lambda: "", | |
outputs=[user_input] | |
) | |
clear_btn.click( | |
fn=clear_all, | |
outputs=[chatbot, supervisor_output, researcher_output, executor_output, final_output, status_text] | |
) | |
gr.Markdown( | |
""" | |
--- | |
### 📝 사용 방법 | |
1. 질문을 입력하고 Enter 또는 '분석 시작' 버튼을 클릭하세요. | |
2. 감독자 AI가 키워드를 추출하고, 조사자 AI가 웹 검색을 수행합니다. | |
3. 세 AI가 협력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| |
4. 최종 종합 결과는 상단에 표시됩니다. | |
### ⚙️ 환경 설정 | |
- **LLM API**: `export FRIENDLI_TOKEN="your_token"` | |
- **Brave Search API**: `export BAPI_TOKEN="your_brave_api_token"` | |
- **테스트 모드**: `export TEST_MODE=true` (API 없이 작동) | |
### 🔗 API 키 획득 | |
- Friendli API: [https://friendli.ai](https://friendli.ai) | |
- Brave Search API: [https://brave.com/search/api/](https://brave.com/search/api/) | |
""" | |
) | |
if __name__ == "__main__": | |
app.queue() # 스트리밍을 위한 큐 활성화 | |
app.launch( | |
server_name="0.0.0.0", | |
server_port=7860, | |
share=True, | |
show_error=True | |
) |